무제한 대중교통 기후동행카드 신청 및 판매처 총정리
기후동행카드는 1회 요금 충전으로 30일간 대중교통(지하철, 버스), 따릉이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
대중교통 통합 정기권입니다.
서울시는 4월 24일부터 모바일 기후동행카드를, 27일부터 실물카드를 신용·체크카드로
충전하는 시스템을 적용합니다.
실질적인 혜택이 되길 바라며 기후동행카드의 신청부터 사용까지의 전 과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.
기후동행카드 주요 내용
■ 사업기간: 2024년 1월 27일(토) ~ 6월 30일(일)
■ 이용범위: 서울지역 지하철 + 김포골드라인, 서울시 면허 시내·마을버스, 따릉이
■ 이용제외: 신분당선, 서울지역 외 지하철, 광역/공항버스, 타 지역 면허버스
서울시내에서 승하차하는지하철과 서울 시내버스와 마을버스만 사용 가능합니다.
※ 버스의 경우 서울시 면허 버스는 서울지역 외에서 승하차하더라도 기후동행카드 사용 가능
※ 지하철의 경우 이용범위 내 역에서 승차 후 이용범위 외 역에서 하차할 경우 기후동행카드 사용 불가
예 : 종로3가(서울) 승차→인덕원(경기) 하차, 기후동행카드 사용불가, 하차역에서 역무원에 의해 별도 요금 징수
승차역에서 하차역까지의 운임요금 부과
※ 예외적으로 이용범위 내 역에서 승차 후, 4호선(별내별가람~진접), 5호선(미사~하남검단산), 7호선(석남~까치울), 진접선(전구간)에서 하차하는 것은 가능합니다.(해당 역에서 승차는 할 수 없음)
기후동행카드 종류 및 가격
카드 종류
모바일카드(안드로이드 휴대전화, OS 12 이상)
실물카드(iOS 기반 휴대전화, 디지털 약자 모바일카드와 실물카드 2가지입니다)
카드 가격
62,000원(따릉이 제외) : 지하철 + 버스
65,000원(따릉이 포함) : 지하철 + 버스 + 따릉이
기후동행카드 서비스 범위
이용가능 교통수단
■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(광역버스, 투어버스 제외)
- 서울동행버스(간선요금 적용버스)
■서울02번, 서울04번, 서울05번, 서울특별시 마을버스
이용불가 교통수단
■ 서울 광역버스 : 서울동행버스: 서울03번, 서울06번
■ 경기도 시내버스 및 마을버스
■ 광역급행버스, 택시, 시외버스, 공항버스, 똑버스
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, 신분당선, 경강선, 용인 경전철, 의정부 경전철
이용예정 서비스 범위
■ 인천광역시, 김포시, 군포시, 과천시, 고양시, 하남시
※ 시범사업기간 중인 4월~6월 쯤 합류예정입니다.
기후동행카드로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는 세부노선입니다.
승하차 가능 구간에서 승차 후 하차 불가 구간에서 하차 시 역무원을 호출하여
교통카드 기준 구간요금을 별도로 정산 후 하차 가능합니다.
기후동행카드 서비스 범위 | ||
서울지역 지하철 + 김포골드라인 | ||
1 |
|
|
2 | 서울시 면허 시내·마을버스(심야버스 포함) | |
3 | 따릉이 |
■ 비서울 일부 역들에서 승차는 불가능하지만 하차는 별도의 추가 요금 없이 가능한 역
- 4호선 진접선, 5호선 하남선, 7호선 인천/부천 구간
기후동행카드 구매 및 충전
■ 충전 시 사용개시일(충전일 포함 5일 이내) 선택 가능
■ 재충전은 사용기간 만료 5일전부터 가능하며, 만료일 +30일로 자동 기간 연장
■ 사용기간 만료일 이전 재충전 시 기존 사용 권종으로 자동 연장
■ 권종 변경을 원할 경우 사용기간 만료일 이후 재충전 필요
■ 청년(만19~34세)의 경우 7,000원 할인 혜택 적용('24.2.26.~)

사용기간
※ 사용개시일 : 카드 충전 시 충전일 포함 5일 이내로 사용개시일 선택 가능
※ 재충전
- 사용기간 만료 전 : 사용개시일 선택 및 권종 변경 불가(사용기간 만료일 + 30일로 자동연장되며,
따릉이 포함 여부 변경 불가)
(사용기간 만료 전 충전은 만료일 5일 전부터 만료일 당일까지입니다.
단, 오전 12시~04시에는 사용기간 만료 전 충전이 불가능합니다.)
- 사용기간 만료 후 : 최초 충전과 동일하게 사용개시일 및 권종 선택 가능
따릉이 사용방법
■ 모바일 기후동행카드
- 1. '모바일티머니' APP에서 모바일 기후동행카드번호 확인
- 2. '티머니GO' 앱 다운로드 및 회원가입 후 기후동행카드번호 등록
- 3. '티머니GO' 앱에서 따릉이 두시간권 사용
■ 실물 기후동행카드
- 1. '티머니 카드&페이' 홈페이지 회원가입 및 카드 등록
- 2. '티머니GO' 앱 다운로드 및 회원가입 후 기후동행카드번호 등록
- 기후동행카드 충전 한시간 후부터 '티머니GO' 앱에서 카드 등록이 가능합니다
- 3. '티머니GO' 앱에서 따릉이 두시간권 사용
환불
- 환불대상: 사용만료일 전 기후동행카드 사용잔액 환불을 원하는 고객
- 환불대상:기후동행카드 충전 가격에서 누적 이용요금 및 수수료 제외
- ▶ 실 사용액이 충전금보다 많은 경우 환불 불가, 따릉이 1일 1천원, 최대 5천원 차감
- ▶ (예시) : 65,000원 충전 – 30,000원 사용 – 수수료 500원 = 34,500원 환불
- - 환불금: (카드 충전금) - (대중교통 실 사용액) - (수수료 500원)
- 환불방식:환불 접수 후 5일 이내 개인 계좌입금 처리
실물카드 판매처
각 서울 지하철 역사와 편의점에 판매하고 있습니다.
서울 지하철 역사 내 무인 충전기에서 현금 충전과 카드충전이 가능하고,
다른 교통 카드와 달리 편의점이나 ATM 충전은 불가합니다.
※ 편의점 : GS25, CU, 이마트24, 세븐일레븐
기후동행카드 청년할인
지원대상 : 만19세~39세(1984.1.1. ~ 2005.12.31. 출생자) ※ 거주지 제한 없음
지원내용 : 시범사업(2.26.(월)~6.30.(일)) 동안 사용분은 7월 이후 별도 신청을 통해 사후 환급
(월 7천원, 최대 3만 5천원) 본사업(7.1.(월))부터 별도의 청년 요금(5만 5천원, 5만 8천원)으로 충전 가능
기후동행카드 사용법
1. 사전확인 : 주로 이용하는 대중교통 수단이 기후동행카드 “서비스 범위”에 포함되는지 확인
2. 본인 휴대전화 기종이 무엇인지 확인
3. 권종 선택(따릉이 이용 여부)
기후동행카드 VS K- 패스
카드할인이 적용되지 않은 일반요금 기준으로 청년은 월 78,715원 이상,
일반은 월 77,500원 이상 사용할 경우 기후동행카드가 유리하지만, 그 아래로는 K-패스가 유리합니다.
35세부터 39세까지는 K-패스는 일반(20%) 적용되고
기후동행카드는 청년(55,000원) 적용되므로 이 경우에는 68,750원 이상 사용할 경우
기후동행카드가 유리합니다.
아래표를 참고하셔셔 현명한 선택 하시길 바랍니다.
요금 | K패스일반 | K패스청년 | 기후동행카드 유리횟수일반 |
기후동행카드 유리횟수청년 |
기후동행카드 유리횟수35~39세 |
1,400원 | 1,120원 | 980원 | 56회 | 57회 | 50회 |
1,500원 | 1,200원 | 1,050원 | 52회 | 53회 | 46회 |
1,600원 | 1,280원 | 1,120원 | 49회 | 50회 | 43회 |
1,700원 | 1,360원 | 1,190원 | 46회 | 47회 | 41회 |
1,800원 | 1,440원 | 1,260원 | 43회 | 44회 | 39회 |
1,900원 | 1,520원 | 1,330원 | 41회 | 42회 | 37회 |
2,000원 | 1,600원 | 1,400원 | 39회 | 40회 | 35회 |
2,100원 | 1,680원 | 1,470원 | 37회 | 38회 | 33회 |
2,200원 | 1,760원 | 1,540원 | 36회 | 36회 | 32회 |
2,300원 | 1,840원 | 1,610원 | 34회 | 35회 | 30회 |
2,400원 | 1,920원 | 1,680원 | 33회 | 33회 | 29회 |
매일 출근, 혹은 통학을 위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들,
환경 보호에 기여하고자 하는 이들, 그리고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는 청년층에게 다양한 혜택이 있는
기후동행카드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.